-
[Time Shift] 프로툴 플러그인 time shift 메모음향/플러그인 2022. 2. 28. 19:26
공부하면서 모르는 부분들을 정리한 것으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참고하면서 봐주시고 궁금하신 거나 틀린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~* Time shift
TIME SHIFT Audio
- Mode : 내가 프로세싱 하고싶은 클립에 대해 어떤 알고리즘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부분
monophonic : 한번에 한음만 연주하는 악기를 분석할 때 적합한 모드로 보컬이나 베이스 같은 악기가 이에 해당함
polyphonic : 동시에 여러음을 연주하는 악기나 복합음을 분석할 때 적합한 모드
rhythmic : 퍼커시브한 사운드를 분석할 때 적합한 모드로 드럼 같은 악기가 이에 해당함
varispeed : time과 pitch 링크시켜 변화를 주며 옛날의 테이프 머신과 같은 효과를 내는 모드
- Range : 분석하려고 하는 클립의 frequency range를 결정하는 부분
low, mid, high는 말그대로 저음, 중음, 고음으로 내가 프로세싱할 클립의 특성에 맞게 선택해주면 됨
wide는 복잡한 재료에 맞으며 넓은 frequency range를 갖는 클립에 사용하는 게 좋음
; 아직 레인지에 변화에 따라서 어떻게 분석을 하는건지 소리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 예상이 안된다...
Formant
Formant : 간단히 말하자면 목소리에서의 배음을 칭할 때 쓰는 말, 이 부분은 monophonic 모드에서만 사용 가능
음색을 바꿀 수 있는 부분으로 기본음은 유지한 채 음색만 바꾸고 싶을 때 사용
여자 목소리에 - semitone을 해주면 남자 목소리의 느낌을 줄 수 있음
Transient
: polyphonic, rhythmic 모드에서만 가능하며 두 모드일 때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이 조금 다름
Transient(polyphonic) - polyphonic
threshold : transient를 얼마만큼 인지하게 할 것인지 threshold를 결정
window : 분석할 window 길이를 결정
Transient(rhythmic) - rhythmic
threshold는 위와 같고 다른 부분은 decay rate인데 말 그대로 트랜지언트의 디케이 비율을 결정하는 부분
threshold는 클립이 더 퍼커시브 한 사운드일수록 낮게 설정해주면 트랜지언트를 더 잘 분석함
- follow
내가 프로세싱하려는 파형의 엔벨롭 팔로우를 하는 기능으로 미리 내가 프로세싱할 것을 시뮬레이션함
; 이 트랜지언트 부분은 프로툴에서 strip silence와 비슷한 원리인가?..